▼ 에스겔 48:23-35 에스겔을 마감하는 여호와 삼마의 축복
길고 길었던 에스겔 묵상의 마지막 대미는
12 지파에서 선발된 사람들이 모여와서 살게되는
한 성읍의 이야기로 마쳐지고 있습니다[48:15/30-34]
이 성읍은 레위지파의 땅과 아래로 연접해 있는데
각 지파의 성읍이 있고 또 성읍을 출입하는
12 문이 있습니다. 그런데 특이한 것은
이 성읍은 제사장의 땅이나 레위인의 땅보다
거룩하지 못한 일반적인 속된 땅이라고 함에도[48:15]
이곳에는 레워인들도 들어와 한 성읍을 이루게 되고
또 이곳에서는 요셉 지파도 두 몫을 가지지 못하고
12 지파가 모두 공평하게 분배받고 있는 것 입니다
하나님께 예물로 드려진 중앙 성소와
그 것을 둘러쌓고 있는 제사장들의 땅
그리고 또 여기에 아래로 연결되어 있는
레위인들의 땅 [20개 고을]과
그리고 여기서 또 다시 아래로 연결되어 있는
시민들의 성읍은 신비에 둘러 쌓인 성읍 입니다
이미 12지파가 분배받은 각자의 땅이 있었는데
왜 하나님께서 각각의 지파에서 선발된 사람들이
이곳에 와서 성읍을 이루고 살라고 하셨는지가
매우 궁금한 점 입니다
우선 상식적으로 생각하기에는
예루살렘 중앙 성소에 예배하러 올라오는 이들이
그 예배의 기간 동안 중앙 성소와 가까운 이곳에서
각각 자신들이 속한 지파를 따라 머물게 하는
목적이 아닐까 생각해 보게 되는데
그러나 이 모든 궁금증을 그대로 내려 놓고
에스겔을 마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 열두 지파를 선별적으로 한 곳에 모아놓은
이 성읍과 그 성문들의 이야기가
성경의 마지막 책인 요한 계시록에서
완성된 하나님의 나라의 모습으로
다시 만날 수 있기 때문 입니다[계21:12-14]
그러나 오늘의 말씀에서 에스겔 묵상을 마감하는
더욱 진한 여운을 남겨주는 것은
에스겔이 포로생활 25년 동안 받았던 마흔 여덟 장의
계시의 말씀을 마지막 구절에 나오는
"여호와 삼마"로 마치고 있는 것 입니다.
그 날 후로는
그 성읍의 이름을 여호와 삼마라 하리라[48:35下]
여기서 "여호와 삼마"란 "여호와께서 거기 계신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자기 백성들의 죄 때문에
성전 동문으로 떠나셨던 여호와 하나님께서[11장]
자기 백성과 새 언약을 맺으시며 다시 돌아오시고[44:2]
이제 그곳에 영원히 함께 계신다"는 의미로 주신
여호와 삼마의 약속은 신약으로 들어와서
임마누엘[하나님이 자기 백성과 함께 계신다]는
예수님의 성육신으로 성취되었고[마1:23. 28:20]
다시 오실 그의 재림으로 완성될 것 입니다
또 내가 새 하늘과 새 땅을 보니
처음 하늘과 처음 땅은 없어졌고
바다도 다시 있지 않더라
또 내가 보매 거룩한 성 예루살렘이
하나님께로부터 하늘에서 내려오니
그 예비한 것이 신부가 남편을 위하여 단장한 것 같더라
.........
보라 하나님의 장막이 사람들과 함께 있으매
하나님이 저희와 함께 거하시리니
저희는 하나님의 백성이 되고
하나님은 친히 저희와 함께 계셔서
모든 눈물을 그 눈에서 씻기시매 다시 사망이 없고
애통하는 것이나 곡하는 것이나 아픈 것이
다시 있지 아니하리니
처음 것들이 다 지나갔음 이러라 [계21:1-4]
------[에스겔을 마감하는 기도]------
여호와 삼마가 되시며 임마누엘 되시는
주님의 임재와 동행을 힘입어
주님을 얼굴로 대하여 만나는 그 날까지
굳세게 살아가는 신앙과 삶이 되게 하소서
'구약성서당 > 에스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겔 36장:37 나라와 민족을 위한 기도. (0) | 2018.01.10 |
---|---|
▼ 에스겔 48:1-22 완성될 하나님 나라를 바라보는 희망의 메세지 (0) | 2016.04.29 |
▼ 에스겔 47:13-23 내가 받을 기업[땅의 분배] (0) | 2016.04.28 |
▼ 에스겔 46:1-24 왕과 나 (0) | 2016.04.26 |
▼ 에스겔 45:1-25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공정 사회로 가는 길 (0) | 2016.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