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약성서당/예레미야

예레미야 52:1-11 시드기야의 쇠심줄 고집에서 배우는 교훈

by 朴 海 東 2020. 10. 29.

시드기야의 쇠심줄 고집에서 배우는 교훈

예레미야 52:1-11

 

깊어가는 가을을 지나 어느덧 저무는 가을로 들어섰는지
거리에 나가면 가로수 잎새들이 낙엽으로 뒹글고
늦 가을 을씨년스런 거리의 스산한 풍경을 만들어낸다.
이제 점점 더 날씨가 추워지면서
아름다운 단풍으로 옷을 입은 가을 나무들도 낙엽을 떨구고
모두 대지의 색깔로 돌아가는 나목 (裸木)으로 남을 것이다

오늘 2020년 10월 29일 목요일
오랫동안 이어진 예레미야 묵상이 마지막 52장으로 들어왔다
이미 51장 마지막 절에서 "예례미야의 말이 끝나니라"고 하여
그의 입을 통해 구술되고 그의 제자이며 서기관인 바룩을 통해
필사되었던 예레미야의 예언이 끝난 것으로 된 것을 감안하면

마지막 한 장 더 붙어있는 예레미야 52장은 하나의 부록이며
길고 길었던 예레미야 예언을 마감하는
에피로그(저작 후기)로 받아드리게 된다.

그런데 특이한 것은 오늘의 본문52:1-11절의 내용이
열왕기하 25:1-7절과 거의 유사하게 기록되고 있으며
또 한 가지 52장의 마지막 단락에서는 바벨론에 불모로 잡혀간
여호야긴 왕의 복직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 [52:31-34]

이것은 예레미야가 세상을 떠난 후의 이야기들인 점을 감안할 때
52장의 부록은 서기관 바룩이나 혹은 또 다른 필사자가 썼던가
아니면 훗날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오게 되었을 때
그 간의 이스라엘의 역사를 기록으로 집대성하면서
이 역사 속에 내재된 하나님의 계시를 한 책으로 묶을 필요를 느낀
에스라에 의해 첨부된 것은 아닌지 조심스런 나의 사견을 붙여본다

오늘의 말씀을 묵상하면서 묵상의 소재로 담게 되는 것은 네 가지다

1. 시드기야의 쇠심줄 고집은 어디서 나온 것인가?[52:1-3]
2. 바벨론 군대의 포위 작전과 성중의 기근[52:4-6]
3. 백성을 버리고 도망가는 왕 시드기야[52:7-8]
4. 체포되고 심문받으며 고통에 떨어지는 시드기야의 최후[52:9-11]

1. 시드기야의 마음에 얽힌 쇠심줄[소 힘줄] 고집의 출처

예레미야의 예언이 처음 시작되는 1장이 요시야 왕 13년으로써
요시야가 8세에 왕위에 올랐으나 당시 21살이었던 셈인데
52:첫 구절에서 시드기야가 왕이 된 것이 21살이라고 했으니
4대 왕을 거치면 선지자 사역을 한 예레미야의 입장에서 보면
21살 청년 왕이면서 말씀으로 성숙했던 선한 왕 요시야와
21살의 미성숙 청년 왕 고집쟁이 왕 시드기야를 상대한 셈이다.

오늘의 말씀 52:2절에서 시드기야가 끝까지 고집을 부리며
비틀어진 길을 가게 된 이유로써 그의 아비 요시야가 아닌
그의 형 여호야김의 행위를 본받은 것이라고 적고 있다

여호야김은 실제 요시야의 첫째 아들로서 성질이 못되어
왕의 재목이 아니었는지 요시야 왕이 죽었을 때
둘째였던 여호아하스가 왕이 되었고
이 여호와하스가 3개월 만에 애굽에 불모로 잡혀가면서
애굽에 의해 세워진 왕이 되었는데 그의 치세 11년 내내
예레미야 선지자를 통해 전달되는 하나님의 말씀을 거절하고
친 애굽 정책으로 나가다가 당시 애굽을 누르고
신흥세력으로 부상한 바벨론에 의해 따끔한 맛을 보았고
그가 죽었을 때도 시체가 버려진 왕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그런데 시드기야는 어찌하여 이처럼 말로가 좋지 않은
그의 형 여호야김의 길을 따르다가 똑같이
비참한 최후를 맞게 되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며
쇠심줄 같은 고집이 그를 끝까지 붙잡은 것을 보게 된다.

그가 바벨론의 세 번째 침공으로 예루살렘 성이 포위되어
성안에 양식이 다 떨어졌을 때라도 도망가는 대신
예레미야가 간절히 권했던 것처럼 바벨론 왕에게 항복하고
성문을 열고 나왔다면 오늘의 말씀이 보여주는 것 같은
비참한 상황까지는 가지 않았을텐데.....
이런 고집쟁이 왕 잘못된 지도자 한 사람의 결정으로 인해
그 피해와 고생이 고스란히 백성들에게 전가된 것을 본다

우리 조선의 역사에서 16대 왕 인조가 청나라 누루하치의 아들
홍타이지 군대의 공격을 받고 남한산성으로 들어갔을 때도
똑같은 상황이 벌어져 먹을 양식이 다 떨어지고
나중에는 군사용 말까지 다 잡아먹을 정도가 되는데
그나마 화친파 최명길의 제안을 받아들여 성문을 열고 나왔을 때
지금의 송파 나루터인 삼전도에서 항복의식으로써
오랑케라고 불렀던 여진족의 후예[금나라/청나라] 앞에
삼배고구두례(三拜九叩頭禮)를 올리는 굴욕을 당했지만
그래도 나라를 보존하고 백성은 살릴 수 있었고
이듬해 다시 노란 민들례 꽃이 피는 봄을 맞을 수 있었다
[픽션과 논픽션을 적절히 조합한 소설 남한산성의 작가는
마지막 장면에서 다시 핀 민들례 꽃으로 이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    -------------------     -------------------

 

유다의 마지막 왕 시드기야의 쇠심줄 고집과 비참한 말로는
오늘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주님은 무엇을, 무슨 교훈을 말씀하고 싶으신 것일까?

1) 세상사, 인간의 역사는 하나님 말씀의 성취이다.
2) 어린 시절의 신앙교육이 평생을 좌우한다.
3) 사람은 선을 본받기보다 악을 본받기가 쉽다
4) 지도자 한 사람의 영향력이 백성의 삶의 질을 좌우한다.

1) 세상의 역사는 하나님의 말씀이 성취된 결과로 나타난다

예레미야 52장은 예레미야 1-51장까지 예레미야를 통해 선포된
하나님의 말씀이 과연 어떤 결과로 나타난 것인지 밝혀줌으로써
참이요 진실인 하나님의 말씀의 권위를 다시 한번 강조한다.
시드기야는 예레미야를 통하여 간곡한 권면을 수없이 들었는데
그는 선지자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다가 비참한 최후를 맞는다

2) 어린 시절의 신앙교육이 평생을 좌우한다.

유다 왕국의 마지막 선한 왕 요시야는 8세에 왕위에 올라
39세에 부름을 받아 가기까지 하나님 말씀 중심에 섰고
우상숭배로 기울어지는 나라를 끝까지 살려보려 했으며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풀었는데
이는 그가 아직 자기 가치관이 정립되지 않은 어린 나이인
8세에 왕위에 올라 하나님의 말씀으로써
신앙교육을 제대로 받은 결과로 나타난 것으로 이해하게된다

그러나 특이한 것은 요시야의 세 아들인
여호와하스/여호야김/시드기야는 각각 23세/25세/21세로써
모두가 이미 자기 가치관이 형성되었던 나이였던 것을 보면
[왕하23:31.36. 24:18]
이들 세 왕의 어린 시절과 청소년기가 그대로 굳어져서
청년 왕들이 되었을 때 선지자 예레미야의 말을 듣지 않고
자신들의 고집으로 나간 것을 이해하게 된다

4대 왕을 거치면서 나라의 장래를 바라볼 줄 알았던
예레미야의 조언을 무시했던 이 젊은 왕들에게서 보는 것은
나이가 들고 경험이 많은 분들을 맨토로 삼지 않고
그들의 이야기를 물리치면 화가 미친다는 것을 보게 된다.

논밭에 곡식보다 잡초가 더 잘 자라는 것처럼
사람의 심리도 선을 따르기보다 악을 따르기가 쉬운 법인데
요시야 왕의 세 아들이 모두 잘못된 길로 가며
특히 막내 시드기야가 맏형 여호야김의 행위를 따랐다는 것은
내 집안에 키우는 자식들 가운데 한 자식이 잘못 나간다거나
특히 그 잘못 나가는 자식이 맏이가 될 때
그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이 마지막 세 왕의 이야기에서도 본다.

요시야는 선한 왕으로 기울어지는 나라의 국정을 바로잡으며
우상을 척결하고 여호와 신앙으로 돌아서게 하는 종교개혁은
성공적으로 일으켰어도 자신의 가정에서의 신앙교육은 실패한 것일까?

유다 왕국의 역사에서 선한 왕에게서 악한 왕이 나오고
또 악한 왕에게서 선한 왕이 나오기도 하는 이런 역순환은
이 시대 성경의 독자인 우리[내]가 풀 수 없는
오직 하나님께 속한 영역의 난제인 것을 다시 한번 깨닫는다.

4) 잘못된 지도자 시드기야를 통해 주시는 교훈

시드기야의 쇠심줄 고집이 가져온
자신과 유다 왕국의 비참한 말로를 보면서
지도자 한 사람의 영향력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를 배운다

시드기야가 진정 백성을 생각하는 지도자라면
그는 자신이 굴욕적이라고 생각되더라도
자신의 고집을 꺾고 항복을 택하여야 했다.
그리고 이 항복은 적군에 대한 항복이라기보다
하나님께 향한 항복이며
그나마 잘못된 상황에서도 최악은 피할 수 있는 항복이 된다.

그러나 그는 항복을 거절했고
무너지는 왕국과 함께하기보다 도망을 택했으며
그가 여리고 평지에서 추격하는 바벨론 군에 잡힌 것을 보면
당시 반 바벨론 정책을 편 암몬으로 도피하려다 잡힌 것 같다.

그가 잡히게 되었을 때 호위하던 군사들이 모두 달아나고
그와 함께 잘못된 정책을 고집했던 신하들만 남았을 때
그는 무엇을 느끼게 되었을까?
그것은 항복보다 더 큰 굴욕과 고통이 그를 기다리고 있었으니
곧 바벨론 왕 앞에 끌려가 심문을 받고
자신의 두 아들과 신하들이 자신의 눈앞에서 죽는 것이며
이 쓰라린 장면을 마지막 영상으로 망막에 저장한 채
두 눈이 뽑히게 되었으며 바벨론으로 끌려가
죽을 때까지 자신의 눈에 각인된 이 쓰라린 마지막 영상으로
고통하여야 했으니 슬프고 괴로운 생지옥이 따로 없었으리라

이제 유다 백성과 시드기야의 불행을 기록한 오늘의 묵상을 내리며
오늘 나는 내가 혹 불순종하여 망하는 자리에 처할지라도
그나마 항복함으로써 최악은 피해야 할 것은 없는지 돌아보게 되고
또 우리 조국 대한민국과 우리의 대통령과 나라의 지도자들이
유다 왕국과 시드기야처럼 헛된 정책과 쓸데없는 자존심을 고집하다가
악습의 전철을 밟게 되는 불행에 빠지지 않기를 진심으로 기원 드린다.